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HTTP2
- rule
- flowbits
- 오탐
- 수리카타
- DDOS
- 탐지
- 미탐
- stream_size
- snort
- IDS
- signatrue
- Reassembly
- stream buffer
- 시그니처
- slowloris
- sinature
- isdataat
- idps
- chromium 탐지
- 암호화
- dsize
- 크롬 탐지
- TLS
- IPS
- Suricata
- header dos
- chrome 탐지
- SSL
- 재조합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Rules/malicious (1)
linefilt
RDP over SSH Tunnel
원격 데스크톱은 대상 컴퓨터가 원격 데스크톱을 허용해두었다면, 윈도의 mstsc 이용해서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고 RDP 환경에서는 대부분의 기능을 거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기에 많은 표적이 될 수 있다. 그림 1은 윈도우에서 mstsc를 이용한 원격 데스크톱 접속 시 패킷, 그림 2는 우분투에서 RDV, KRDC, Remmina를 통해서 접속 시의 패킷 페이로드를 나타낸다. 두 개의 패킷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패턴은 |03 00 00|과 |e0 00 00 00 00| 이며, 이 패턴들은 Emerging-Threats Open 룰에서도 거의 동일하다시피 찾아볼 수 있는 패턴이다. 이처럼 RDP가 경유하는 구간에서는 IDS, IPS의 간단한 정책만으로도 RDP 요청을 탐지할 수 있다. 문제는 R..
Rules/malicious
2019. 4. 10. 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