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탐
- 암호화
- HTTP2
- slowloris
- 크롬 탐지
- chromium 탐지
- IPS
- stream buffer
- isdataat
- SSL
- sinature
- DDOS
- Suricata
- flowbits
- idps
- chrome 탐지
- 수리카타
- 재조합
- 오탐
- snort
- stream_size
- Reassembly
- 시그니처
- IDS
- signatrue
- TLS
- dsize
- rule
- header dos
- 탐지
- Today
- Total
목록Reassembly (4)
linefilt

raw stream based Slowloris Slowloris는 서버의 가용 자원을 최대한 낭비하여 DoS를 유발하는 공격으로 일반적인 Flooding 공격과 달리 단순한 임계 값으로는 확인할 수 없으며, 문자열 식별 방식 또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리버스 프록시나 HTTP 서버 등 최종 Termination 역할을 하지 않는 대부분의 보안장비에서, Slowloris 공격을 탐지하는 방식으로 HTTP 메시지에서 0x0d0a0d0a가 없는 세그먼트를 탐지한다. 이 방법은 대부분 간단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실제 트래픽에 이러한 탐지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 문서에서는 문자열 탐지 방식에 적합한 Suricata를 사용하여 Slowloris 공격의 오탐을 최소화..

TCP 스트림은 재조합을 지원하기 때문에 문자열 분할에 대해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하지만, 문자열 패턴이 아닌 순수한 스트림 또는 트래픽 양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에는 탐지하기 곤란하거나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훨씬 많아질 수 있다. 이런 요소들 중 TCP Out-Of-Order (OOO) 또는 segment loss는 연속된 스트림에서 TCP segement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 아래 내용은 TCP OOO와 segment loss가 정확히 몇번 발생했는지 등의 완전성을 목표하지 않는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빈도를 탐지하는 것을 목표(실시간 완전 탐지는 어려움이 존재)로 하며, Suricata IPS(Inline)모드를 사용하여 탐지한다. suricata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chu..
dsize dsize는 일반적으로 IP, 및 TCP, UDP 패킷의 페이로드를 매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isdataat isdataat은 보통 페이로드 존재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하는데 사용한다. 스트림 탐지에서 isdataat은 누적 길이를 기반하여 판단한다. Payload Header 대부분의 프로토콜들은 각각 자신들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 정보를 탐지하여 길이를 유추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각 옵션들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dsize는 가급적 원래의 메시지 자체가 300이하와 같이 작은 메시지에 대해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클라이언트는 각각의 MTU 사이즈를 직접 조정할 수 있기에 큰 값을 매치하는 것은 우회 가능성을 높인다. 서버 접속에서 너무 작은 MTU에 대한..
악성행위에 사용되는 페이로드 단일 패킷 사이즈에 존재 할 수도 있고 다양한 상황에 따라 패킷의 경계부분에 위치하여, 분할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IDS, IPS에서 특정 패턴을 검사하기 위해서 스트림 재 조합 기능은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다. 물론 사용되는 모든 룰들이 재 조합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나, 특정 상황에서는 오로지 재 조합되지 않은 단일 패킷만 검출해서 확인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raw 기반 (Transport Layer) 재조합은 시퀀스 번호와 같이 4계층에서 순서를 정렬할 수 있는 TCP만 지원한다. 룰 제작 측면에서 suricata reassembly 설정에 대하여 확인하며, 본 글에서는 크게 3가지 항목으로 분류로 진행한다. TCP 스트림 재 조합 깊이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