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inature
- slowloris
- stream_size
- Suricata
- IPS
- Reassembly
- dsize
- SSL
- 미탐
- snort
- IDS
- isdataat
- flowbits
- header dos
- rule
- 오탐
- 시그니처
- TLS
- 수리카타
- 탐지
- signatrue
- HTTP2
- 암호화
- stream buffer
- chrome 탐지
- 재조합
- 크롬 탐지
- chromium 탐지
- idps
- DDOS
- Today
- Total
목록재조합 (2)
linefilt
dsize dsize는 일반적으로 IP, 및 TCP, UDP 패킷의 페이로드를 매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isdataat isdataat은 보통 페이로드 존재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하는데 사용한다. 스트림 탐지에서 isdataat은 누적 길이를 기반하여 판단한다. Payload Header 대부분의 프로토콜들은 각각 자신들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 정보를 탐지하여 길이를 유추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각 옵션들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dsize는 가급적 원래의 메시지 자체가 300이하와 같이 작은 메시지에 대해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클라이언트는 각각의 MTU 사이즈를 직접 조정할 수 있기에 큰 값을 매치하는 것은 우회 가능성을 높인다. 서버 접속에서 너무 작은 MTU에 대한..
악성행위에 사용되는 페이로드 단일 패킷 사이즈에 존재 할 수도 있고 다양한 상황에 따라 패킷의 경계부분에 위치하여, 분할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IDS, IPS에서 특정 패턴을 검사하기 위해서 스트림 재 조합 기능은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다. 물론 사용되는 모든 룰들이 재 조합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나, 특정 상황에서는 오로지 재 조합되지 않은 단일 패킷만 검출해서 확인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raw 기반 (Transport Layer) 재조합은 시퀀스 번호와 같이 4계층에서 순서를 정렬할 수 있는 TCP만 지원한다. 룰 제작 측면에서 suricata reassembly 설정에 대하여 확인하며, 본 글에서는 크게 3가지 항목으로 분류로 진행한다. TCP 스트림 재 조합 깊이 (de..